자료설명
[자료 1]은 1919년 3월 1일, ‘조선이 독립한 나라이며 조선인이 이 나라의 주인임’을 밝혀 우리 민족의 독립을 선포한 3·1독립선언서이다. 선언서는 한글과 한문의 국한문 혼용체로 작성되었으며 종이에 활자로 인쇄되었는데, 천도교계 인쇄소인 보성사에서 제작되어 보성사판 3·1독립선언서라고도 한다. 독립 주장의 내용과 원인, 방향을 밝힌 선언문과 공약3장에 이어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1918년 미국 대통령 윌슨이 발표한 민족자결주의와 제1차 세계대전의 전후 문제 논의를 위해 열린 파리강화회의는 국내외 한인들이 독립의 희망을 품게 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19년 1월 상하이 신한청년당에서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우리 민족의 대표로 파견하였고, 2월 8일에는 일제의 중심부인 도쿄에서 한인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을 선언하였다. 한편 1월 21일 광무황제가 갑자기 사망하고 독살설이 제기되면서 국내의 여론도 심상치 않게 흘러가고 있었다.
이러한 국내외 정세를 배경으로 천도교의 손병희, 권동진, 오세창, 최린이 주축이 되어 기독교의 이승훈, 함태영, 불교의 한용운 등의 인사들과 뜻을 모아 독립선언을 추진하였다. 이들은 3월 3일 광무황제의 국장으로 인파가 모이는 것을 기회로 삼아 독립선언서를 발표하되, 국장 당일과 기독교계가 반대한 일요일인 3월 2일을 피해 3월 1일로 거사일을 정하였다.
독립선언서의 작성과 인쇄는 천도교에서 담당하였는데, 최린은 선언서의 작성을 당시 문인이자 언론인이었던 최남선에게 의뢰하였다. 2월 11일 완성된 초안은 15일 최린에게 전달되었고, 천도교와 기독교 측의 동의를 얻어 제작에 착수되었다. 독립선언서는 최남선이 경영하던 인쇄소 신문관에서 조판하여, 천도교 인쇄소인 보성사에서 인쇄되었다. 당시 보성사 총무였던 장효근의 일기에 따르면 2월 27일 2,100매의 독립선언서가 제작되었다.
인쇄된 독립선언서는 다음 날부터 각 도에 배포되어 지역의 천도교구와 교회 등을 통해 주변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학생들을 통해 서울 시내에도 빠르게 배포되었다. 거사 전날인 2월 28일, 자칫 벌어질지 모르는 폭력사태에 대비하여 독립선언 장소를 탑골공원에서 태화관으로 변경하였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평양, 진남포, 안주, 의주, 선천, 원산의 7개 도시를 시작으로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서울 종로의 태화관에서는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을 선언하고 바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으며, 같은 시각 탑골공원에서는 학생들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기 시작했다. 이렇게 시작된 3·1만세운동은 한반도는 물론 해외의 동포들까지 참여하게 되면서, 온 민족의 독립의지를 확인시켜준 독립운동의 분수령이 되었다.
3·1운동의 확산은 곧 독립선언서의 확산과 맥을 같이 한다. 독립선언서는 보성사 인쇄본 뿐 아니라 등사본으로도 만들어져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그 중 [자료 2]는 우편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전해진 독립선언서의 정황을 잘 보여준다. 익명의 발신인으로부터 철산의 유봉영에게 보내진 이 독립선언서는 광복 후 발신인인 연세대학교 교수 정석해에 의해 발견되어 전말이 드러나게 되었다. 1919년 3·1운동 당시 연희전문학교 학생이었던 정석해가 3월 2일 독립선언서를 학교 등사판으로 찍어 그 중 한 부를 고향인 철산의 유봉영에게 우편으로 보낸 것이다. 선언서를 담았던 봉투에는 “서대문(西大門) 8.3.3”이라는 도장이 찍혀있어, 다이쇼(大正) 8년인 1919년 3월 3일에 서대문 우체국에서 발송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 1]과 [자료 2]를 비롯한 독립기념관 소장 독립선언 관련 자료 총 48점이 국가적인 보존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국가지정기록물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김도훈·이애숙·전성현·이송순,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보는 1919, 그날의 기록1』, 국사편찬위원회, 2019.
대통령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쉽게 읽는 독립선언서』, 2019.
이윤상, 『한국독립운동의 역사-3·1운동의 배경과 독립선언』,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2, 2009.
장효근, 『장효근 일기Ⅰ』, 독립기념관, 2022.
정석해, 『진리와 그 주변』, 일조각, 1981.